근로소득원천징수(소득증빙자료) 인터넷 발급 방법!
근로소득원천징수(소득증빙자료) 인터넷 발급 방법!
직장생활을 하다 보면 금융기관제출용 등 근로소득원천징수 영수증을 발급받아야 할 경우가 종종 생기곤 합니다. 근로소득원천징수 영수증은 어떻게 발급받을 수 있고 어떤 이유로 사용하게 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근로소득원천징수 영수증이 무엇인가요?
근로소득원천징수 영수증이란 사업장에서 사업자가 근로자의 원천세를 먼저 징수한 다음 국가에 대신 납부 하는 것을 말합니다. 원천세란 모든 징수 대상의 소득에 대해 부과되는 소득세와 지방소득세를 말합니다. 흔히 우리는 회사를 다니거나 혹은 프리랜서 업무를 받는 경우 원천세 3.3% 제하고 입금됩니다. 여기에서 말하는 원천세는 소득세를 말하며 사업소득자의 소득세 세율이 3.3%로 책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근로소득원천징수 영수증은 사업자가 근로자의 근로소득에 대해 원천세를 징수한 내용을 담은 영수증을 말하는 것입니다.
근로소득의 경우 원천세는 근로소득세를 말합니다. 근로소득세는 구간별로 상이하게 최저 6%에서 최고 45%까지 부과됩니다. 가장 낮은 구간이 1200만원 이하로 세율이 6%이고 그다음 구간이 4600 만원 이하로 세율은 15%입니다. 이후 구간별로 3~9% 정도로 증가합니다.
산출세액=과세표준 X 기본세율
과세표준 | 기본세율 |
1,200만원 이하 | 과세표준의 6% |
1,200만원 초과 ~ 4,600만원 이하 | 72만원+(1,200만원 초과금액의 15%) |
4,600만원 초과 ~ 8.800만원 이하 | 582만원+(4,600만원 초과금액의 24%) |
8,800만원 초과 ~ 1억5천만원 이하 | 1,590만원+(8,800만원 초과금액의 35만원) |
1억5천만원 초과 ~ 3억원 이하 | 3,760만원+(1억5천만원 초과금액의 38%) |
3억원 초과 ~ 5억원 이하 | 9,460만원+(3억원 초과금액의 40%) |
5억원 초과 ~ 10억원 이하 | 17,460만원+(5억원 초과금액의 42%) |
10억원 초과 | 38,460만원+(10억원 초과금액의 45%) |
[예시] 종합소득과세표준이 2,000만 원인 경우 산출세액의 계산
1,920,000원= 72만원 + (2,000만 원-1200만 원) X 15%
근로소득원천징수 영수증에는 본인의 급여에 해당하는 근로소득세와 지방세를 징수한 급여 대상에 대한 금액이 나와 있기 때문에 그것을 급여 증빙에 용도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근로소득원천징수 영수증은 어떻게 사용되나요?
보통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을 때 심사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은행에 가서 대출 신청을 하게 된다면 직장인인 경우 근로 소득원천징수 영수증을 요구받아 가져 가게 됩니다. 만약 3개월 미만일 경우에는 갑종근로소득원천징스영수증을 가져가게 되는데 이 모든 것들이 급여 증빙을 실제로 보고 그 금액을 기준으로 대출을 갚을 능력을 판단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외에 이직시 전 직장의 연봉 확인용으로도 활용됩니다. 이직을 하게 될 때 급여에 대해 거짓으로 말할 수 있는 부분을 바로잡기 위하여 원천징수 영수증을 요구하기도 합니다. 원전 징수 내용을 보면 이력서에 기재한 직전 회사의 연봉을 알 수 있습니다.
근로소득원천징수 영수증 인터넷 발급 방법
근로소득원천징수 관련하여 이전 직장에 전화를 해서 발급 받을 수도 있으나 힘든 상황이 있을 수도 있으니 인터넷 발급을 활용하면 됩니다. 단순 세액 확인이나 금액 확인 정도라면 홈택스에서 쉽게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홈텍스에는 출력한 서류는 전 직장의 직인이 찍혀있지 않기 때문에 법적 효력이 없으므로 금융기관 또는 관공서 제출시에 문제가 될 수 있음을 숙지하고 근로소득원천징수 영수증을 발급받기를 바랍니다.
근로소득원천징수 영수증을 홈텍스를 통해 인터넷으로 발급받는 방법입니다
①홈텍스로 접속을 합니다. 인증방식을 통해 로그인을 합니다
②맨 우측 My 홈텍스를 클릭합니다. My홈텍스 페이지에서 죄 측 카테고리 중 연말정산 지급명세서를 클릭합니다. 그리고 지급명세서 등 제출 내용을 클릭합니다
③제출 내역을 클릭하게 되면 본인에게 발급된 지급명세서가 나옵니다
(근로소득원천징수 영수증이라는 항목은 별도로 없습니다)
④전년도 원천징수 영수증은 당해년도 3월 이후로 조회가 가능합니다. 원하는 연도의 원천징수 영수증을 클릭해서 프린트하시면 됩니다. 저장을 원하실 경우 인쇄 버튼에서 pdf로 저장을 하면 됩니다.